반응형
네번째 세션은 7번째 세션 발표자의 사정으로 마지막 세션과 시간을 바꾸어서 진행하였다.
다음 커뮤니케이션 김유진 팀장님이 발표하였다.
[다시 소셜 네트워크]
뭐 소셜 네트워크 하면 화제는 역시 Facebook이다.
23세의 마크 주커버그..재산 15억 달라(1조 4200억원)..구글에 필적하는 일별 Daily pageviews..
이웃 나라 일본에서더 마바게 타운 과 믹시의 성공은 소셜 네트워크가 뜨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Facebook으 성공 요인중 하나는 7천개 이상의 Application이다. 즉 Social Graph Platform이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는 Social Graph Platform을 통해서 서비스 제공자가 해당 서비스를 통한 경제 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 상부 상조하게 되는 것이다.
구글은 Open Social로 웹 사이트 개발자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을 손쉽게 추가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공동 API를 만들어 이 Social graph platform war에 동참하고 있다.
그리고 산제된 나의 Identity (프라필,연락처,사진,음악,동영상 등)을 모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도 이용 할수 있는 표준 모델을 만들려는 움직임도 있다. (http://dataportability.org)
국내 Social Network는 대표적인게 사이월드이며 그외에 SMS와 연계된 me2day 같은 서비스 들이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성공 포인트]
1. SNS의 경우 성공후 정체가 발생함. 이는 SNS에서 신선도(?)가 떨어지면서 서비스 이용의 피로도가 증가하며 발생하는 것이다. 이것은 facebook의 성공 사례처럼 Social Application의 개발로 재미를 공급하고 이를 오픈함으로 많은 개발자를 끌여 들이고 경제권을 만들어 줌으로 선순환이 되도록 하게 한느게 중요하다. Social Network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와 결합된 Application을 제공함으로 서비스 영역의 확대가 필요한다.
2. 개인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합 관리 할수 있어야 한다. (Open ID로 통합 관리?)
3. 각 SNS에 산제되어 있는 관계들을 통합 하고 확장 할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SNS에서 Network를 새로 생성하는 것은 피곤한 일이며 각 서비스에 있는 network를 공유할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4. M&A 이외의 수익 모델이 가능하도록 BM이 필요하다. 경제권을 형성하도록 하는게 필요
[소셜 네트워크의 미래와 이슈]
블로그와 소셜 네트워크의 결함 - Wordpress, Open social, 블로그 네트워크, MyBlogLog, RSS 구독자 네트워크, 방문자&댓글&트랙백을 건 블로그와의 네트워크
하지만 SNS는 프라이 버시 문제/사이버 폭력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대형 서비스의 시장 독점으로 유의미한 규모의 네트워크를 후발 업체가 만들기가 힘들다. 그리고 수익 모델이 불투명 하다. (Social 관계에 기반한 광고 모델?)
강사 블로그..
http://kyjean.tistory.com
http://blog.daum.net/kyjean
다음 커뮤니케이션 김유진 팀장님이 발표하였다.
[다시 소셜 네트워크]
뭐 소셜 네트워크 하면 화제는 역시 Facebook이다.
23세의 마크 주커버그..재산 15억 달라(1조 4200억원)..구글에 필적하는 일별 Daily pageviews..
Facebook으 성공 요인중 하나는 7천개 이상의 Application이다. 즉 Social Graph Platform이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는 Social Graph Platform을 통해서 서비스 제공자가 해당 서비스를 통한 경제 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 상부 상조하게 되는 것이다.
구글은 Open Social로 웹 사이트 개발자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을 손쉽게 추가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공동 API를 만들어 이 Social graph platform war에 동참하고 있다.
국내 Social Network는 대표적인게 사이월드이며 그외에 SMS와 연계된 me2day 같은 서비스 들이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성공 포인트]
1. SNS의 경우 성공후 정체가 발생함. 이는 SNS에서 신선도(?)가 떨어지면서 서비스 이용의 피로도가 증가하며 발생하는 것이다. 이것은 facebook의 성공 사례처럼 Social Application의 개발로 재미를 공급하고 이를 오픈함으로 많은 개발자를 끌여 들이고 경제권을 만들어 줌으로 선순환이 되도록 하게 한느게 중요하다. Social Network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와 결합된 Application을 제공함으로 서비스 영역의 확대가 필요한다.
2. 개인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통합 관리 할수 있어야 한다. (Open ID로 통합 관리?)
3. 각 SNS에 산제되어 있는 관계들을 통합 하고 확장 할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SNS에서 Network를 새로 생성하는 것은 피곤한 일이며 각 서비스에 있는 network를 공유할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4. M&A 이외의 수익 모델이 가능하도록 BM이 필요하다. 경제권을 형성하도록 하는게 필요
[소셜 네트워크의 미래와 이슈]
블로그와 소셜 네트워크의 결함 - Wordpress, Open social, 블로그 네트워크, MyBlogLog, RSS 구독자 네트워크, 방문자&댓글&트랙백을 건 블로그와의 네트워크
하지만 SNS는 프라이 버시 문제/사이버 폭력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대형 서비스의 시장 독점으로 유의미한 규모의 네트워크를 후발 업체가 만들기가 힘들다. 그리고 수익 모델이 불투명 하다. (Social 관계에 기반한 광고 모델?)
강사 블로그..
http://kyjean.tistory.com
http://blog.daum.net/kyjean
반응형